IT 정보통신

360종 미래로봇 밑그림..타산업과 연계 상용화 관건

정상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0.01.15 19:39

수정 2010.01.15 19:39



미래의 병원에선 의사들이 초정밀 수술로봇들을 원격 조종해 수술하고 환자들은 계단이나 둔덕 등에 따라 모양이 변하는 지능형 휠체어로봇을 타고 다닌다. 학교에선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지능적으로 상호교감하는 교육로봇이 수업을 도와준다.

아이들은 ‘통학동행 로봇’에 책가방을 올려놓고 안전하게 등하교한다. 건설 현장에선 무거운 자재들을 상하좌우로 안전하게 옮겨 주는 ‘지능형 자재 이동로봇’이 사람의 손을 대신한다.

백화점 주차장엔 자동 발레파킹(주차대행) 로봇시스템이 설치돼 주차로 애를 먹는 일이 사라진다.

상상만 하던 미래 로봇들이 구체화되고 있다.
15일 지식경제부와 로봇융합포럼이 앞으로 3∼8년 내에 산업, 생활현장에서 사람을 도와줄 360여종의 로봇들 밑그림을 내놓았다.

홈서비스, 교육, 의료 등 8개 분야의 미래로봇 융합제품 로드맵이다. 로봇융합포럼은 지식경제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10개 부처와 관련 전문가 150여명이 참여한 민·관 포럼이다.

■360여종의 미래로봇 제시

이번에 제시된 미래로봇은 상용화를 염두에 둔 모델들이다.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갖고 있는 현재의 기술을 좀 더 발전시키면 제품화해 볼 만한 것들이다.

분야별로 보면 택시와 같은 운송수단으로 개인이 탑승할 수 있는 무인이동 ‘퍼스널 모빌리티로봇’은 2017년께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로봇이 미래의 농업환경도 바꾼다.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U-팜(Farm)’이 그것. 작물의 재배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으로 자동 조절해 주는 일을 로봇이 대신해 준다. 이 시스템은 2018년께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병원도 로봇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평소 병실에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필요한 경우 환자의 음성을 인식해 간호업무를 보조하는 로봇이 2013년께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로봇이 스스로 이동해 심부름까지 하는 다기능 침대형 로봇은 2018년께 등장한다.

미래엔 로봇들이 등장하는 공연도 펼쳐진다. 인간과 같이 공연을 수행하는 ‘인체형 연기로봇’으로 다양한 표정과 몸짓과 같은 감정표현도 가능하다. 프로그래밍한 대로 움직이는 수동형 로봇수준은 이르면 2012년께 나온다. 2018년께는 스스로 움직이는 로봇도 상상해 볼 수 있다.

심각한 고령화에 따라 노인들을 돕는 로봇도 나온다. 노인의 말 상대가 돼 주는 ‘친구로봇’, 손잡이를 잡고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 노인생활보조 로봇’은 2016년 정도면 거리에서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 현장에선 위험작업을 로봇이 대신해 준다. 위치, 제어 정밀도가 높아진 차세대 용접로봇인 ‘고밀도 스폿용접로봇’이 대형선박 건조 시 여러 개의 금속을 맞대거나 겹쳐서 접합하는 일을 대신한다.

■체계적인 상용화 노력 필요

전 산업군에 걸쳐 로봇을 융합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광범위하게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계에서도 유례가 없는 일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앞서서 제품화해 세계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그만큼 로봇기술은 타산업과 연계, 융합돼야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

하지만 넘어야 할 산도 많다. 무엇보다 로봇기술 개발에 필요한 자금이 관건이다. 산업별로 상용화까지 가기 위한 정부 투자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한 해 200억원 정도 되는 로봇산업 연구개발(R&D) 예산도 이 같은 로드맵에 맞게 제대로 쓰이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과거처럼 지역, 분야별로 안배해 ‘나눠 주기’ 식으로 자금을 집행하다 보면 효과적인 결과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중소업체가 대부분인 국내 로봇산업 현실에서 자금력 있는 대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도 유도해야 한다. 아울러 모터, 센서 등 주요 핵심부품은 수입에 의존하고 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 같은 융합로봇 제품화를 국산화하는 원천기술 및 핵심부품 개발도 중요하다.


이정엽 현대로템 책임연구원은 “머릿속에만 있던 로봇모델들을 실질적으로 개발하고 확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더 중요하다”며 “정부부처나 국책연구원 등은 폐쇄적인 로봇 기술개발보다 국가적 차원에서 개방된 로봇개발로 협력하고 함께 시장을 열어 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기자

fnSurvey